메뉴 건너뛰기

Wook2005.06.16 15:42
죄송하지만 pressing공장에서는 2ch이 없는 멀티채널 master는 받지 않습니다. 다시한번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DSD->PCM 변환이 더 좋은 것이 아니라 더 편리한 것이죠. PCM코딩을 하시는 분들에게요. narrow PCM이나 wide PCM방식의 DSD변환을 할경우 현재 DAC가 감당하려면 다시 SRC를 해서 정보량을 줄여야 합니다. PCM엔지니어 입장에서 이야기 하시는 거라는 점. 다시한번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언급하셨듯이 DSD는 아날로그 재생시 강점을 가지는 포맷입니다. 그런데 그것을 PCM으로 바꿔서 DA를 해라라고 하는 것은 DSD장점을 버려라 라고 하는 것이죠. 그렇게 이야기하는게 별 문제가 없다고 생각하실 수는 있으나 그것은 하나의 의견일 뿐입니다. 현재 SACDP중 기기 내부에서 DSP를 지원하는 제품이 무엇이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유니버설 기기들의 경우도 대부분 SACD모드일 때는 DSP를 걸지 않게 되어있습니다. 저는 음악을 녹음하는 엔지니어로 PCM도 DSD도 다 좋습니다. 우리나라에서 DSD녹음 최초로 했고, 김대진 교수 쇼팽 녹음 때는 172Khz로 PCM녹음을 역시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하기도 했습니다. 단, 제가 계속 이야기를 하는 것은 아직 "주장"에 불과한 이야기들을 "사실"처럼 이야기하시기 때문에 말씀 드리는 것입니다. 그리고 용어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서는 Basemanagment에는 .1이란 표현을 쓰지 않는 것이 좋겠습니다. .1은 영화의 LFE채널을 뜻하는 것이고, Base management는 .2가 될 수도 더 많은 수가 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CD를 북셀프로 들을 때 base management를 이야기 하지 않지요. Base management가 계속 이야기가 나오는 것은 영화/DVD 진영의 영향입니다. 북셀프 다섯으로 멀티채널을 구사하는 것은 적어도 SACD에서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영화에서는 LFE 채널이 재생이 되지 않으니 문제가 생기겠지만요. 그리고 SACD뿐 아니라 DVD쪽의 뮤직 소프트도 .1의 채널은 사용하지 않거나 LFE가 아니라 Height와 같은 다른 정보를 수록하는 것으로 쓰이고 있다는 것 또한 주지하셔야 할 내용입니다. DSD는 아날로그 출력을 멀티채널 프리(리시버)의 다이렉트 인풋에 꽂아 그냥 사용하는 것이 원래 의도된 사용방식입니다. 단 하나의 문제는 Base management가 아니라 channel delay입니다. 이것을 어떻게 컨트롤 할 것인가는 SACDP뿐 아니라 다이렉트 아날로그 인풋을 채용하는 모든 멀티채널 리시버/앰프 제조사의 고민이기도 합니다.
파일 첨부

여기에 파일을 끌어 놓거나 파일 첨부 버튼을 클릭하세요.

파일 크기 제한 : 0MB (허용 확장자 : *.*)

0개 첨부 됨 ( / )

(주)에이프릴뮤직
TEL: 02-578-9388
Email: info@aprilmusic.co.kr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