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59 추천 수 0 댓글 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디지털의 초기에 엔지니어들은 디지털이 활성화되면 이제 세상의 모든 오디오는 다 같을 것이라고 예견했었습니다. 물론 그때도 디지털의 지터 (난조파형)가 있다는 이야기는 알고 있었으나 사람의 귀는 그것을 느끼지 못할 것이라고 하였었습니다. 가청대역인 20Hz ~ 20kHz까지만 잘 커버하면 된다고 생각한 것이지요. 그런데,....조물주가 창조한 인간은 그리 달달하지 않았습니다. 몸으로 느끼는 것이지요. 어떨 땐, 섬뜩할 정도로 차이를 찾아냅니다. 블라인드테스트를 하면, 기획자의 어떤 의도된대로 대부분은 쫓아간다고 하지만, 그래도 무엇인가 얼굴에 찝찝해하는 모습이 보일라 치면 영락없이 커튼 뒤에서의 무엇인가 있었던 것입니다. 저도 가끔 장난을 칩니다만.....의도된 목적을 가지고 하지는 않습니다. 말이 길어졌군요. 디지털 도메인에서의 pick-up에서의 미세한 진동, 딜레이..등이 0과 1의 조합에 영향을 미칩니다. 그리고 더욱 결정적인 것은 DA conversion에서 입니다. Transport와 DAC는 서로 보완관계로 있을 수도 있고, 서로 해악관계로 존재할 수도 있습니다. 즉, 트랜스포트는 좀 달리지만 DAC가 좋아서 그 부족분을 커버해 줄 수도 있고. 반대로 기껏 트랜스포트에서 잘 주었는데 DAC에서 망칠 수도 있습니다. 둘 사이가 어느 정도 레벨이상의 시스템이라면 서로 보완작용을 해서 총체적으로 Balance가 맞은 소리를 들려주어야 합니다. 아니면 소비자가 그 소리를 찾아가야 합니다. 이것을 매칭이라고도 합니다만..,... 지인의 댁에서 CDP가 싼 것을 썼는데도 그런 좋은 소리가 난다는 것은 DP300이 좀 힘을 낸 것일 수 있습니다. 그런데, 만약 여기에 더 좋은 트랜스포트를 물리면 더욱 더 나은 소리가 날 수도 있었겠습니다. 이것은 시스템이 커지면 그 차이를 더 쉽게 느낄 수 있습니다. 대형, 중이상의 볼륨에서....말입니다. 작은 공간에서 작게 들으면...인식하기 힘듭니다. 곡도 잘 골라야 하고요. 저는 Transport와 DAC을 컴비네이션으로 평가합니다. 단품으로서의 평가는 기본이고요. 기본 이상을 찾아갈 때면 각 조합에 따른 전체적인 음악성을 따집니다. 매우 음악적으로 들리는 조합에 최고 점수를 줍니다. 그러다 보면 가격이 조금 올라갑니다만..... 예를 들어 오라클 트랜스포트는 mark levinson이나 초고가의 트랜스포트에 비하여는 좀 뭉툭한 것같고 느린 감도 있지만, DAC을 잘 물려서 들어보면 대단한 음악성을 뽑습니다. 이유는 복합적이라 봅니다. 어떨땐 CDA200SE 일체형 CDP를 Lunare One Bi-amping 초대형으로 물려도 잘 납니다. 디지털의 세계는 골치를 덜어준 것이 아니라 골치를 더해줍니다. 그리고 돈도 훨씬 더 들게 만들었습니다. 그 결과 아날로그의 재탄생을 가능케 하였고, 초 하이엔드 아날로그라는 새로운 마켓을 가능케 하였습니다. 저는 아직도 처음 미국에서 들었던 NEC의 스튜디오장비 CDP에서 나오던 소리를 잊지 못합니다. 그리고 그 디지털 소리가 지금 디지털 소리랑 얼마나 달라졌는지도 모릅니다. 소리는 현재, 지금, 내 앞의 소리를 가지고 판단해야 하니까요. 스텔로의 CDT200 + DA220의 짝은 이런 의미에서 보면 상당한 성능을 지니고 있다고 생각됩니다. 외국 리뷰어들의 글이 절대 지나침이 없음을 아시게 될 것입니다. 리뷰번역본이 있으니 리뷰란을 잘 읽어보시면 도움이 되실 겁니다. 답변이 너무길어 죄송합니다. 결론도 없군요. 흠..
?
  • ?
    aprilmusic 2004.08.10 15:32
    지적하신 모든 것들이 대부분 내부 리포트에 들어와 있지만, 더욱 섬세히 집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레퍼런스프리의 디자인은 재디자인될 것 예정입니다만 지적하신 것 중에 KNOB의 문제는 설계자는 전혀 문제가 안된다는 것이고 (이 설계자는 와디아 302 신형을 디자인한 사람입니다), 그러나 저희는 좀 더 묵직하고 안정성이 있어 보이는 것으로 하는 것이고.....좌우간 이런저런 것으로 인하여 디테일 디자인 version이 필요합니다. 지속적으로 작업을 할 것입니다. 마크, 제프, 비올라...모두 30년이상의 백그라운드를 가진 회사들입니다. 하루아침에 뛰어넘을 수는 없고요. 조금씩 넘어가야겠지요. 다행한 것은 Sound와 Circuit에 관하여는 이미 그들도 빨간 불을 켜고 에이프릴을 지켜보고 있다는 것입니다. 국내에서는.....아직도 역시 국산은....그래..정도로 대접받고 있는 것이 모두 디자인및 마감에 관한 것이란 생각을 합니다. 갈 길이 멉니다. 조언은 귀에 따갑지만, 내일 우리에게 승리를 가져다 줍니다. 감사드리며..... sonic feature에 관한 것도 정확히 잡아주시길....
  • ?
    이상필 2005.02.21 16:00
    음... 묵묵부답 이군 다른 공제품에 비해 공동제작 주관자의 관심이 없는 건지... 다른 공제는 답글이 상당히 많이 올라오는거 같은데... 답글좀 주세요, 답글좀 주세요, 답글좀 주세요, 답글좀 주세요........예?!
  • ?
    에이프릴뮤직 2005.02.21 22:11
    안녕하세요. 답변이 늦었습니다. 내일 정리해서 진행상황을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 ?
    aprilmusic 2006.02.02 13:09
    고객님의 배송순번은 30번이며, 정보변경 해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aprilmusic 2006.03.18 11:44
    입금이 확인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1. 스텔로 se에 맞는 케이블은?

  2. 저도 똑같은 증상이 있습니다(Stello 200SE)

  3. CDA 200SE 단종인가요?

  4. [답변]답변 감사합니다. 추가로 문의 드립니다.

  5. 답변 감사합니다. 추가로 문의 드립니다.

  6. [답변]cda-200se관련 문의 드립니다.

  7. cda-200se관련 문의 드립니다.

  8. No Image 16Sep
    by inlds
    2004/09/16 by inlds
    Views 76 

    cda200se의 IEEE1394단자 업그레이드 문의

  9. [답변][질문]DP300 포노단 문제

  10. [질문]DP300 포노단 문제

  11. [답변]죄송합니다.귀사의 씨디피질문이아님니다.

  12. 죄송합니다.귀사의 씨디피질문이아님니다.

  13. No Image 11Sep
    by aprilmusic
    2004/09/11 by aprilmusic
    Views 151 

    [답변]스텔로 시디피 문의

  14. [답변] O과 1 이 바뀌는 것은 없습니다만......

  15. [질문]CDT와 DAC의 비중

  16. DP300 recording시의 전자파?

  17. [답변]DP300 recording시의 전자파?

  18. 스텔로 시디피 문의

  19. P-200.....

  20. [답변]p200의 입출력에 대하여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 202 Next
/ 202

(주)에이프릴뮤직
TEL: 02-578-9388
Email: info@aprilmusic.co.kr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